강화 전등사 대웅전(江華 傳燈寺 大雄殿, 보물 제178호)이 있는 전등사는 고구려 소수림왕 11년(381)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세웠다고 전하지만 고려 중기까지의 역사는 확실히 알 수 없다. 조선 선조 38년(1605)과 광해군 6년(1614)에 큰 불이 일어나 절이 모두 타버려, 그 이듬해 다시 짓기 시작하여 광해군 13년(1621)에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다고 한다.
강화 전등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江華 傳燈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보물 제1785호)을 모시고 있는 대웅전은 광해군 13년(1621)에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한 장식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고 기둥은 가운데 부분을 둥글게 처리하여 안정감을 주고 있다.
네모서리 기둥 윗부분에는 벌거벗은 여인상(裸婦像)의 모습을 조각해 놓았는데 이것은 공사를 맡았던 목수의 재물을 가로챈 주모의 모습이라는 전설이 전해져 오는데, 재물을 잃은 목수가 주모의 나쁜 짓을 경고하고 죄를 씻게 하기 위해 발가벗은 모습을 조각하여 추녀를 받치게 하였다는 것이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3곳의 처마 밑에서는 두 손으로 처마를 받치며 벌을 받고 있는 모양새인데 비해, 한 귀퉁이의 것은 한 손으로만 처마를 받치고 있다는 점이다. 마치 벌을 받으면서도 꾀를 부리고 있는 듯한 모습으로 우리 선조들의 재치와 익살을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대웅전 내부에는 삼존불을 모신 닫집의 장식, 천장은 용, 극락조, 연꽃 등으로 화려하게 채색하였다.
당시의 능숙한 조각 솜씨를 엿볼 수 있고, 조선 중기 이후의 건축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전등사 강설당아미타불탱(傳燈寺講說堂阿彌陀佛幀,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2호)은 1918년에 제작된 그림으로 많은 존상들이 정연하게 늘어서 있어 안정감을 주고 있으며 각 인물들의 얼굴과 자세, 의습선 등에서 정치(精緻)한 필력(筆力)을 엿볼 수 있다. 색 배합은 밝은 홍색과 녹색, 황색 위주이고 간간이 백색과 청색을 섞어 썼다. (자료출처: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 문화재 소재지: 인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 전등사 (온수리)
* donga Jounalog: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23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