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고려궁지(江華 高麗宮址, 사적 제133호)는 고려(高麗)가 몽골군(蒙古軍)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해 고종 19년(1232)에 강화도로 수도(首都)를 옮기고 1234년에 세운 궁궐(宮闕)과 관아건물(官衙建物)이다.
정궁(正宮) 이외에도 행궁·이궁·가궐(行宮·離宮·假闕)을 비롯하여 많은 궁궐이 있었다. 정문(正門)은 승평문(昇平門)이었고 양쪽에 삼층루(三層樓)의 문이 두 개가 있었으며 동쪽에 광화문(光化門)이 있었다. 39년동안 사용되었고 1270년 강화조약(江華條約)이 맺어져 다시 수도를 옮기면서 허물어졌다. 조선시대에도 전쟁이 일어나면 강화도를 피난지(避難地)로 정했다. 조선 인조 9년에 옛 고려 궁터에 행궁을 지었으나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청군(靑軍)에게 함락되었다. 그후 다시 강화유수부(江華留守府)의 건물을 지었으나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프랑스군에 의해 거의 불타 없어져 지금은 동헌(東軒)과 이방청(吏房廳)만 남아있다.
고려궁지는 끊임없는 외세의 침략에 저항한 우리 민족의 자주정신과 국난 극복의 역사적 교훈을 안겨주는 곳이다.
강화유수부 동헌(江華留守府 東軒,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5호)은 조선시대 관아의 하나로 강화지방의 중심업무를 보던 동헌이다. 오늘날 군청과 같다. 영조 45년(1769)에 유수 황경원이 현윤관이라 이름을 붙였으며, 여러 차례 보수해서 본래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건물은 앞면 8칸·옆면 3칸의 규모로, 겹처마 단층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2중의 장대석 기단 위에 네모꼴의 주초석을 놓고 네모로 다듬은 기둥을 세웠다. ‘명위헌(明威軒)’과 ‘이관당(以寬堂)’이라는 현판은 당시의 명필이자 학자인 백하 윤순(白下 尹淳, 1680∼1714)이 썼다.
강화유수부 이방청(江華留守府 吏房廳,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6호)은 강화유수부 안에 있는 이방·호방·예방·병방·형방·공방 6방의 건물 중 이방청으로 조선 중기의 관청 건물이다. 조선 효종 5년(1654)에 유수 정세규가 세웠고, 정조 7년(1783)에 유수 김노진이 건물 내부를 고쳐 괘홀당(掛笏堂)이라고 불렀다.
나무로 된 1층의 기와집으로 ㄷ자형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여러 차례 고쳐서 옛날 관청의 모습을 잘 알 수는 없으나, 조선시대 지방의 이방청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고려궁지 외규장각(高麗宮址 外奎章閣, 사적 제133호)은 조선 정조 때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강화도에 설치한, 왕립 도서관인 규장각(奎章閣)의 보속 도서관 역할을 하였다. 설치 이후 왕실이나 국가 주요 행사의 내용을 정리한 의궤(儀軌)를 비롯한 왕실 관계 서적을 보관 하였으나, 1866년(고종 3)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프랑스군이 강화도를 습격하면서 의궤를 포함한 서적 등을 약탈하였으며, 나머지는 불에 타 없어졌다.
대한민국 정부와 민간단체에서는 프랑스 정부에 계속해서 외규장각 도서의 환수를 요구해 왔으나 반환 협상이 연기 되거나 프랑스 측에서 계속 협상을 지연시키는 등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다. 2010년 11월 12일 G20정상회의에서 양국 대통령 간에 외규장각 도서를 5년마다 계약을 갱신하는 임대형식으로 대여하기로 합의하여 145년 만에 우리나라로 돌아왔다. (자료출처: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 문화재 소재지: 경인천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743번지
* donga.com Jounalog: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3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