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불총림(古佛叢林) 백양사(白羊寺)는 1400여 년 전 백제 무왕 33년(632년) 여환조사(如幻祖師)가 창건하고,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이며 40여 개의 사찰을 관할한다. 5대 총림 중 한 곳인 백양사는 백두대간이 남으로 치달려와 남원, 순창 일대를 거쳐 장성 지역으로 뻗어 내려온 노령산맥의 백암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창건 당시 백암산 백양사로 명명됐으며 고려시대인 1034년(덕종 3) 중연(中延)이 중창한 후 정토사(淨土寺)라 개칭하였다.
백양사(白羊寺)란 이름은 하얀 양을 제도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1574년(선조 7) 환양선사(喚羊禪師)가 영천암에서 금강경을 설법 하는데 수많은 사람이 구름처럼 몰려들었다. 법회가 3일째 되던 날 하얀 양이 내려와 스님의 설법을 들었고, 7일간 계속되는 법회가 끝난 날 밤 스님의 꿈에 흰 양이 나타나 ‘저는 천상에서 죄를 짓고 축생의 몸을 받았는데 이제 스님의 설법을 듣고 업장 소멸하여 다시 천국으로 환생하여 가게 되었다’고 절을 하였다. 이튿날 영천암 아래에 흰 양이 죽어 있었으며 그 후 절 이름을 백양사로 고쳐 불렀다. 지금의 절은 1917년 송만암 대종사가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백학봉의 거대한 바위를 배경으로 좌우에 맑고 찬 계곡물이 흘러내려 경치가 매우 수려하다. 가을단풍을 비롯하여 년 중 변화가 있는 아름다운 경치를 보여준다. 갈참나무와 단풍나무가 도열하듯 서 있는 숲길을 지나 백양사 입구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쌍계루가 눈에 띈다. 앞에는 계곡을 막아 만든 연못, 뒤로는 기암절벽이 병풍처럼 서 있어 연못물에 어른거리는 쌍계루의 모습이 한 폭의 그림 같다. 선도량으로 유명했던 곳으로 불교계를 이끌었던 고승들도 많이 배출되었다. 일제 때 2대 교정(종정)을 지낸 환응, 조계종 초대 종정 만암, 태고종 초대 종정 묵담 등 근래에 와서 서옹당 종정 등 고승만도 5명이나 된다.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長城 白羊寺 逍遙大師塔, 보물 제1346호)은 백양사 입구에 자리한 부도전 내에 있으며, 백양사 주지를 역임한 소요대사(1562∼1649)의 묘탑이다. 소요대사는 13세에 백양사에서 불도에 입문하였고 부림(浮林)에게 대장(大藏)을 배운 후 서산대사에게 신지(神旨)를 깨우쳤으며 백양사 조실(祖室)로 있었다.
묘탑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높이 156cm 규모의 탑으로, 기단부·탑신부·상륜부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는 8각형으로, 각 면에는 초화무늬가 조각되었는데, 1면에만 거북 동물이 양각되어 있다. 상면에는 아래로 향한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그 위에는 각형 1단이 탑신부를 받고 있다. 탑신부는 종모양으로 전체적으로는 전통적인 범종의 모습과 같이 하대·유곽·상대·용뉴를 표현하고 있다. 하대에는 2줄의 돌출된 선으로 윤곽을 그리고, 그 안에는 게를 비롯한 8마리의 동물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유곽은 4면에 배치되었는데, 그 안에는 9개의 유두가 돌출되었다. 상대에는 2줄의 돌출된 선이 있고, 문양이 양각되어 있다. 상면에는 아래를 향한 연꽃무늬가 조각되었고, 하대와 유곽 사이에는 모두 4마리의 용을 조각하였다. 전면에는 액자 모양을 조각하고 그 안에 ‘소요당(逍遙堂)’이라 새겨서 소요대사의 부도임을 밝히고 있다. 상륜부는 4마리의 용두(龍頭)가 석종을 움켜 물은 상태인데, 그 사이에는 구름무늬를 새기고 그 위에 보주를 올려놓았다.
소요대사탑은 백양사 이외에도 담양 용추사와 지리산 연곡사에도 있다. 이 중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보물 제154호)은 탑신부에 새겨진 글에 의해서, 조선 효종 원년(1650)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백양사 소요대사탑 역시 소요대사가 입적한 시기와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의 건립연대 등으로 보아 1650년을 건립의 하한으로 볼 수 있다. 범종의 세부양식이 탑에 표현된 드문 사례이며 주인공이 확실하고 건립연대를 알 수 있어 탑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장성 백양사 성보문화재들은 소요대사탑 보물 이외에 지방유형문화재 6건, 지방문화재자료 1건, 명승 1건, 천연기념물 2건이 있다. 백양사 극락보전(白羊寺 極樂寶殿,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2호), 장성 백양사 극락전 아미타회상도(長城 白羊寺 極樂殿 阿彌陀會相圖,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91호), 장성 백양사 극락보전 목조아미타여래좌상(長城 白羊寺 極樂寶殿 木造阿彌陀如來坐像,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89호), 백양사 대웅전(白羊寺 大雄殿,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3호), 백양사 사천왕문(白羊寺 四天王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4호), 장성 백양사 각진국사 복구 진영 (長城 白羊寺 覺眞國師 復丘 眞影,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90호), 청류암 관음전(淸流庵 觀音殿,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79호), 장성 백양사 백학봉(長城 白羊寺 白鶴峰, 명승 제38호), 장성 백양사 고불매(長城白羊寺 古佛梅, 천연기념물 제486호),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長城 白羊寺 비자나무 숲, 천연기념물 제153호)이 있다.
이밖에 석가모니의 진신사리(眞身舍利)가 안치되어 있는 9층탑이 있다. (자료출처: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 문화재 소재지: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백양로 1239
* donga.com Jounalog: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25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