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조선왕릉(朝鮮王陵)은 인류의 문화유산으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라 2009년 6월 30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519년의 역사를 지닌 조선은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았다. 조상에 대한 존경과 숭모(崇慕)를 매우 중요한 가치로 여긴 조선은 역대 왕과 왕비의 능을 엄격히 관리했다. 그리하여 42기 능 어느 하나도 훼손되거나 인멸되지 않고 모두 제자리에 완전하게 보존되었다. 조선왕릉은 우리의 전통문화를 담은 독특한 건축양식과 아름다운 자연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600여 년 전의 제례가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살아있는 문화유산이다.
조선왕릉의 가치는 형태적 보존에만 있지 않고 더욱 빛나게 하는 것은 600년 넘게 이어져 내려온 조선왕릉 제례의식이다. 조선은 건국 이래 산릉제례를 엄격하게 지켜왔으며, 1945년 해방 후에는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이 능기신제(陵忌辰祭)의 전통을 이어받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매년 왕과 왕비의 제향일에 산릉제례가 엄숙하게 행해진다.
조선왕릉의 구성은 죽은 자가 머무는 성(聖)의 공간(능침공간)과 산 자가 있는 속(俗)의 공간(진입공간)이 만나는 곳(제향공간)으로 그 공간적 성격에 따라 정자각에서 왕과 왕비의 봉분(능침, 능상)이 있는 평소에는 산 자의 출입이 금지되는 성의 세계인 성역 능침공간, 홍살문에서 죽은 자와 산 자가 함께 하는 영역으로 제사를 지내는 정자각까지의 제향공간, 왕릉의 관리와 제례를 준비하는 재실에서 왕릉입구인 홍살문에 이르는 진입공간,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조선왕릉(朝鮮王陵)의 상설(象設)
. 곡장(曲墻): 봉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봉분의 동, 서, 북 삼면을 둘러놓은 담장이다.
. 능침(陵寢): 능 주인이 잠들어 있는 곳, 능상(陵上)이라고도 한다. 민간에서는 봉문분상무덤 이라한다.
. 병풍석(屛風石): 봉분을 보호하기 위해 봉분 밑부분에 둘러 세운 열두 돌. 병풍석에는 12방위를 나타내는 십이지신상을 해당 방위에 맞게 양각하였는데, 모두 방위에서 침범하는 부정과 잡귀를 몰아내기 위하여 새겼다. 둘레돌, 호석(護石)이라고도 한다.
. 지대석(地臺石): 병풍석 면석을 받쳐 놓은 기초가 되는 돌이다.
. 난간석(欄干石): 봉분을 둘러싼 울타리 돌이다.
. 상계(上階): 능침과 혼유석, 석양, 석호, 망주석, 곡장이 있는 가장 위의 단으로 초계라고도 한다.
. 중계(中階): 문인석과 석마가 있는 중간단이다.
. 하계(下階): 무인석과 석마가 잇는 아랫단이다.
. 석양(石羊): 죽은 이의 명복을 빌며 땅속의 사악한 것을 물리친다는 뜻으로 설치했다.
. 석호(石虎): 석양과 함께 능침을 수호하는 호랑이 모양의 수호신, 밖을 지켜보는 형태로 설치했다.
. 망주석(望柱石): 봉분 좌우에 각 1주씩 세우는 기둥. 혼령이 봉분을 찾는 표시의 구실을 한다는 설 등기능에 대해 여러 주장이 있다.
. 혼유석(魂遊石): 일반인의 묘에서는 상석이라 하여 제물을 차려 놓지만, 왕릉에서는 정자각에서 제를 올리므로 혼령이 앉아 쉬는 곳이다.
. 고석(鼓石): 북 모양을 닮은 북 모양의 혼유석의 받침돌. 사악한 것을 경계하는 의미로 귀면(鬼面)을 새겨 놓았다.
. 장명등(長明燈): 사찰의 석등을 모방한 것으로 형식상 불을 밝히는 곳. 왕릉의 장생발복(長生發福)을 기원하는 등이다.
. 문인석(文人石): 장명등 좌우에 있으며, 두 손에 홀을 쥐고 왕명에 복종하는 자세로 서있다.
. 무인석(武人石): 문인석 아래에서 왕을 호위하는 무사로 두 손에 장검을 짚고 위엄있는 자세로 서있다.
. 석마(石馬): 문인석과 무인석은 각각 석마를 데리고 있다.
. 예감(瘞坎); 제향 후 축문을 태우는 곳으로 석함, 망료위(望燎位)라고도 한다. 정자각 뒤 왼쪽에 있다.
. 산신석(山神石): 장사 후 3년 동안 후토신-땅을 관장하는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 정자각 뒤 오른쪽에 있고 보통 예감과 마주 보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 정자각(丁字閣): 정자형의 맞배집으로 제관들이 산릉제례를 지내는 곳으로 궁궐의 연침을 모방하여 정자각을 침전이라고도 한다. 정자각에 오를 때는 동쪽으로 오르고 내려올 때는 서쪽으로 내려오는데 이를 일러 동입서출(東入西出)이라 한다.
. 비각(碑閣): 비석이나 신도비를 보호하는 집으로 정자각 동쪽에 있으며 신도비(神道碑)는 능 주인인 왕과 비의 업적을 기록한 일대기가 있다.
. 참도(參道): 홍살문에서 정자각까지 이어진 길. 박석을 깔아 놓았으며 왼쪽의 약간 높은 길이 신이 다니는 길이라 하여 신도(神道라고 하며, 오른쪽 약간 낮은 길을 임금이 다느는 길이라 하여 어도(御道)라고 한다.
. 수복방(守僕房): 능지기들이 능역을 청소하기 위하여 정자각 오른쪽 앞에 있다. 수라간으로도 사용 한다.
. 배위(拜位) : 홍살문 옆 한 평 정도의 땅에 돌을 깔아 놓은 곳으로 왕이나 제관이 절을 하는 곳이다. 신도와 어도 양족에 넓은 박석으로 깔아놓았는데 궁궐이 정전에서 조회하는 것을 모방하여 정자각 동쪽은 문관이 서쪽은 무관과 종친들이 4배하는 자리이다.
. 홍살문(紅虄門): 능.원.사당 등의 앞에 세우며 신성한 지역을 알리는 문으로 붉은 칠을 한 기둥 2개를 세우고 위에는 살을 박아 놓았다. 홍문(紅門) 또는 홍전문(紅箭門)이라고도 한다.
. 금천교(錦川橋): 궁궐의 금천교를 모방하여 석축으로 축조한 다리로서 내금천교와 외금천교가 있다.
. 재실(齋室): 제사와 관련한 전반적인 준비를 하는 곳으로 일반적으로 능참봉이 상주했으며 제사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위해 숙식을 하는 곳이다.
조선왕조 세계도 및 분포도는 조선 왕족의 무덤은 모두 122기에 이르며, 이 가운데 능이 42기, 원이 14기, 묘가 66기다. 조선왕실의 무덤은 묻힌 사람의 신분에 따라 왕과 왕비의 무덤은 ‘능(陵)’, 왕의 생모·왕세자·빈의 무덤은 왕의 사친(私親)의 무덤을 ‘원(園)’, 그 외 왕족인 대군·공주 등의 무덤은 일반인의 무덤처럼 ‘묘(墓)’로 구분되어 불렸다. 42기의 능 가운데 북한 개성에 있는 제릉(태조 원빈 신의왕후의 능), 후릉(정종과 정안왕후의 능)을 제외한 40기가 남한에 있다. 500년이 넘는 한 왕조의 무덤이 이처럼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는 것은 세계에 유례를 찾기 힘들며 문화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제1대. 태조[건원릉(健元陵)]이성계-경기 구리시 인창동-동구릉
. [제릉(齊陵)]신의왕후 한씨-황해도 판문군(북한)
. [정릉(貞陵)]신덕왕후 강씨(방석의 어머니)-서울 성북구 정릉
제2대. 정종[후릉(厚陵)]정종과 비 정안왕후 김씨-황해도 판문군(북한)
제3대. 태종[헌릉(獻陵)]태종과 비 원경왕후 민씨-서울 강남구 내곡동-헌인릉
제4대. 세종[영릉(英陵)]세종과 비 소헌왕후 심씨-경기 여주군
제5대. 문종[현릉(顯陵)]문종과 비 현덕왕후 권씨-경기 구리시 인창동-동구릉
제6대. 단종[장릉(莊陵)]단종-강원 영월
. [사릉(思陵)]단종의 비 정순왕후 송씨-경기 남양주시 진건면
제7대. 세조[광릉(光陵)]세조와 비 정희왕후 윤씨-경기 남양주시 진접읍
. 추존 덕종[경릉(敬陵)]덕종과 비 소혜왕후 한씨-경기 고양시 용두동-서오릉
제8대. 예종[창릉(昌陵)]예종과 계비 안순왕후 한씨-경기 고양시 용두동-서오릉
. [공릉(恭陵)]예종의 원비 장순왕후 한씨(한명회의 딸)-경기 파주시 조리면-공순영릉
제9대. 성종[선릉(宣陵)]성종과 계비 정현왕후 윤씨-서울 강남구 삼성동-선정릉
. [순릉(順陵)]성종의 원비 공혜왕후 한씨(한명회의 딸)-경기 파주시 조리면-공순영릉
제10대. 연산군[연산군묘(燕山君墓)]연산군과 부인신씨-서울 도봉구 방학동
제11대. 중종[정릉(靖陵)]중종-서울 강남구 삼성동-선정릉
. [온릉(溫陵)]중종의 원비 단경왕후 신씨-경기 장흥 일영
. [희릉(禧陵)]중종의 계비 장경왕후 윤씨-경기 고양시 원당-서삼릉
. [태릉(泰陵)]중종의 제2계비 문정왕후 윤씨(명종어머니)-서울 노원구 공릉동-태강릉
제12대. 인종[효릉(孝陵)]인종과 비 인성왕후 박씨-경기 고양시 원당-서삼릉
제13대. 명종[강릉(康陵)]명종과 비 인순왕후 심씨-서울 노원구 공릉동-태강릉
제14대. 선조[목릉(穆陵)]선조와 비 의인왕후박씨, 계비 인목왕후 김씨-경기 구리시 인창동- 동구릉
제15대. 광해군[광해군묘(光海君墓)]광해군과 부인 유씨-경기 남양주시 진건면-사릉부
. 추존원종[장릉(章陵)]원종과 비 인헌왕후 구씨-경기 김포시 김포
제16대. 인조[장릉(長陵)]인조와 비 인열왕후 한씨-경기 파주 탄현면
. [휘릉(徽陵]인조의 계비 장렬왕후 조씨-경기 구리시 인창동-동구릉
제17대. 효종[영릉(寧陵)]효종과 비 인선왕후 장씨-경기 여주군 능서면(세종 영릉부근)
제18대. 현종[숭릉(崇陵)]현종과 명성왕후 김씨-경기 구리시 인창동-동구릉
제19대. 숙종[명릉(明陵)]숙종의 계비 인현왕후 민씨, 계비 인원왕후 김씨-고양시 용두동-서오릉
. [익릉(翼陵)]숙종의 원비 인경왕후 김씨-경기 고양시 용두동-서오릉
제20대. 경종[의릉(懿陵)]경종(장희빈 아들)과 계비 선의왕후 어씨-서울 성북구 석관동
[혜릉(惠陵)]경종의 원비 단의왕후 심씨-경기 구리시 인창동-동구릉
제21대. 영조[원릉(元陵)]영조와 계비 정순왕후 김씨-경기 구리시 인창동-동구릉
. [홍릉(弘陵)]영종의 원비 정성왕후 서씨-경기 고양시 용두동-서오릉
. 추존 진종[영릉(永陵)]진종과 비 효순왕후 조씨-경기 파주시 조리면-공순영릉
. 추존 장조[융릉(隆陵)]장조(사도세자)와 비 혜경궁 홍씨 헌경왕후-화성군 태안면-융건릉
제22대. 정조[건릉(健陵)]정조와 비 효의왕후 김씨-경기 화성군 태안면-융건릉
제23대. 순조[인릉(翼陵]순조와 비 순원왕후 김씨-서울 강남구 내곡동-헌인릉
. 추존 익종[수릉(綏陵]익종과 비 신정왕후 조씨-경기 구리시 인창동-동구릉
제24대. 헌종[경릉(景陵)]헌종과 원비 효현왕후 김씨, 계비 효정왕후 홍씨-구리시 인창동-동구릉
제25대. 철종[예릉(睿陵)]철종(강화도령,이원범)과 비 철인왕후 김씨-고양시 원당동-서삼릉
제26대. 고종[홍릉(洪陵)]고종과 명성황후 민씨-남양주시 금곡동-홍유릉
제27대. 순종[유릉(裕陵)]순종과 효현황후 민씨, 계후 순정효황후 윤씨-남양주시 금곡동-홍유릉
이 기사에 사용된 이미지는 조선 제1대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이고 재실은 구리 동구릉 이다. (자료출처: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 donga.com Jounalog: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26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