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왕도(十王圖)는 지옥에서 죽은 자의 죄를 심판하는 열 명의 왕인 시왕(十王)을 그린 불화(佛畵) 이다. 시왕도(十王圖) 중에 5번째 왕인 염라대왕도(弟五 閻羅大王圖), 8번째 평등대왕도(弟八 平等大王圖), 10번째 오도전륜대왕도(第十 悟道轉輪大王圖)을 그린 불화이다. 염라왕(閻羅王) 앞에서는 옥졸이 죄인의 머리채를 잡고 그가 생전에 살생한 죄업을 보여주며, 평등왕(平等王)의 앞에는 큰 저울이 있어 죄의 무게를 저울에 달듯 정확하게 심판함을 암시한다. 오도전륜왕(悟道轉輪王)은 ‘다섯 길 윤회(輪廻)의 수레바퀴를 돌린다’는 이름의 의미처럼 죽은 사람들을 승려, 남자, 여자, 축생 등 윤회의 길로 다시 보내고 있다. 이 시왕도(十王圖)는 고려후기(高麗後期) 불화(佛畵)로 중국 남송대(南宋代)에 닝보(寧波) 지역에서 제작된 시왕도(十王圖)의 전형적인 구성을 따르고 있으나, 배경을 생략한 공간 구성, 온화한 색채, 특히 금니선과 금니문양에서는 고려불화의 특징이 엿보여 주목된다. (자료출처: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정보)
시왕(十王)은 명부(冥府) 세계에서 죽은 자의 죄업(罪業)을 심판(審判)하는 10명의 대왕(大王)인 진광왕(秦廣王)·초강왕(初江王)·송제왕(宋帝王)·오관왕(五官王)·염라대왕(閻羅大王)·변성왕(變成王)·태산왕(泰山王)·평등왕(平等王)·도시왕(都市王)·오도전륜대왕(五道轉輪大王)을 가리킨다.『예수시왕생칠경(預修十王生七經)』에 의하면 망자(亡者)는 사후(死後) 명부(冥府)로 가는 도중에 초칠일(初七日)에는 진광왕, 이칠일(二七日)에는 초강왕, 삼칠일(三七日)에는 송제왕, 사칠일(四七日)에는 오관왕, 오칠일(五七日)에는 염라왕, 육칠일(六七日)에는 변성왕, 칠칠일(七七日)에는 태산왕, 100일째는 평등왕, 1년째는 도시왕, 3년째는 오도전륜왕 등 차례로 10명의 왕 앞을 지나면서 재판(裁判)을 받는다. 이 재판을 통해 육도(六道- 천天, 인人, 축생畜生, 지옥地獄, 아귀餓鬼, 아수라阿修羅) 중 어느 생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이때 심판을 맡은 심판관(審判官)을 시왕(十王)이라 부른다.
시왕(十王)의 개념(槪念)은 10세기 인도 당말 오대『예수시왕생칠경』의 편찬에 따라 성립되어 10세기경에는 시왕경변상도(十王經變相圖)가 나타나는 등 당나라 이후 시왕 신앙이 성행하였다.『예수시왕생칠경』이후 시왕 신앙은 명부의 구제자인 지장보살에 대한 신앙과 결합하여 9세기 이후에는 시왕과 지장보살이 함께 묘사된 지장시왕도가 다수 조성되었다.
시왕도(十王圖)의 도상(圖像)은 거의 일률적이어서 상단에는 책상 앞에 앉은 시왕이 판관, 사자, 동자 등을 거느리고 망자를 심판하는 광경, 하단에는 망자가 지옥에서 옥졸들에게 무서운 형벌을 받는 장면을 묘사하였다. 지옥 장면은 시대와 지역 등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제1대왕도는 망자를 목판 위에 눕히고 몸에 못을 박는 장면, 제2대왕도는 나무판에 죄인을 묶고 뱃속에서 오장육부를 끄집어내는 장면, 제3대왕도는 죄인을 판에 묶고 혀를 빼내 그 위에서 소가 쟁기질하는 장면, 제4대왕도는 옥졸이 죄인을 창으로 꿰어 펄펄 끓는 솥에 집어넣는 장면, 제5대왕도는 죄인을 쇠절구에 넣고 찧는 장면과 업경(業鏡)에 죄를 비춰보는 장면, 제6대왕도는 옥졸이 죄인의 팔다리를 잡아 날카로운 칼이 꽂힌 숲에 던지는 장면, 제7대왕도는 형틀에 죄인을 묶고 톱으로 몸을 자르는 장면, 제8대왕도는 철산(鐵山) 사이에 죄인을 끼워 놓고 줄을 놓아 압사(壓死)시키는 장면, 제9대왕도는 죄인들을 얼음산에 던져 넣는 장면과 업칭(業秤)에 죄의 무게를 다는 장면, 제10대왕도는 법륜대(法輪臺)를 통해 육도 윤회(六道輪廻)하는 장면이 그려졌다. 지옥사자를 그린 감재사자도(監齋使者圖)와 직부사자도(直符使者圖)가 함께 조성되어 명부전 안에 봉안되었으나 현재 남아있는 예는 많지 않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화재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 donga.com Jounalog: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27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