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중도(神衆圖)는 부처와 불법(佛法)을 수호(守護)하는 여러 신들(神衆)의 모습을 나타낸 조선시대 18∼19세기의 불화(佛畵)이다.
화면의 위쪽에는 일궁천자(日宮天子)와 월궁천자(月宮天子), 주악천인(奏樂天人)들이 둘러싸여 있고, 아래쪽에는 위태천(韋駄天)과 무장신(武將神)들이 그려져 있다. 이와 같은 신중도는 조선시대 사찰의 주(主) 전각(殿閣)에 봉안되는 예배의 대상 이였으며 19세기부터는 불교 일상의례가 보편화되면서 신중(神衆)을 중단의례(中壇儀禮)로 예경(禮敬)하게 되면서 불전(佛殿)의 중단(中壇)에는 신중도를 걸었다.
신중(神衆)은 원래 인도(印度)의 재래신(在來神)들이 부처의 자비심(慈悲心)에 감동되어 불교에 귀의한 후, 불법(佛法)의 유통과 옹호를 맹세한 성중(聖衆)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불교의 수용과 함께 신중신앙(神衆信仰)이 전래되었는데 예로부터 범천(梵天), 제석천(帝釋天), 인왕(仁王), 사천왕(四天王), 팔부중(八部衆), 십이지신(十二支神) 등이 주로 신앙되어 조각(彫刻)과 회화(繪畵) 등으로 많이 조성되었으며 고려시대부터는 주로 불전(佛殿), 탑(塔), 부도(浮屠) 등의 외호상(外護像)으로 조형된 것이 많다. 조선시대의 경우 대웅전(大雄殿), 극락전(極樂殿)을 비롯한 모든 불전(佛殿)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모셔서 봉안되는 필수적인 불화이다.
신중도는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첫째는 대예적금강신(大穢蹟金剛神)을 중심으로 왼쪽에 제석천(帝釋天), 오른쪽에 대범천(大梵天), 아래쪽에 동진보살(童眞菩薩)을 도설(圖說)하고 주위에 성군(星君), 명왕(明王), 천녀(天女) 등을 묘사한 불화이고, 둘째는 제석천(帝釋天)과 대범천(大梵天), 동진보살(童眞菩薩)을 중심으로 한 불화이며, 셋째는 제석천(帝釋天), 대범천(大梵天)을 중심으로 그린 불화, 넷째는 동진보살(童眞菩薩)을 중심으로 그린 불화이다. (자료출처: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정보) * 문화재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 donga.com Jounalog: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28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