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일본에 간 조선통신사(朝鮮通信使)

들풀/이영일 2016. 2. 13. 07:08

  조선인선종대마수전행렬도(朝鮮人先宗對馬守殿行列圖)는 20세기 초 일본 교토(京都) 남쪽 요도죠(淀城)에 내려서 행진하는 조선통신사(朝鮮通信使)를 선도하는 쓰시마(對馬) 번주(藩主) 일행의 행렬 모습이다. 통신정사(通信正使) 홍계희(洪啓禧, 1703∼1771)를 대표로 한 제10차 통신사는 영조 24년(1748) 도쿠가와이에시게(德川家重)의 쇼군(將軍) 취임 축하사절로 파견되었다. 이 행렬도는〈조선통신사행렬도(朝鮮通信使行列圖)〉와 함께 요도번(淀藩)에서 조선통신사의 접대 업무를 맡았던 와다나베모리아리(渡邊守業)가 기록한「조선통신사래빙기(朝鮮人來聘記)」의 부록에 실렸던 그림을 모사(模寫)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통신사(朝鮮通信使)는 조선시대에 국왕이 일본 막부(幕府)장군에게 파견한 공식 외교사절로 15세기 초에 조선과 일본은 서로 사절을 파견하는 외교체제가 이루어졌다. 조선 국왕과 일본 막부 장군은 양국의 최고통치자로서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사절을 서로 파견하기로 합의한 것이다. 이때 조선의 사절을 통신사, 일본의 사절을 일본국왕사(日本國王使)라고 부르기로 하였다. ‘통신(通信)’은 두 나라가 서로 신의(信義)를 통해 교류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초기 조선에서 파견한 사절의 명칭은 ‘보빙사(報聘使)’ ‘회례사(回禮使)’ ‘회례관(回禮官)’ ‘통신관(通信官)’ ‘경차관(敬差官)’ 등 여러 가지가 있었다. 통신사란 명칭이 처음 쓰인 것은 1413년(태종 13년) 박분(朴賁)을 정사(正史)로 한 사절단이었지만, 중도에 정사가 병이 나서 그만 중단되고 말았다. 그 후 교토(京都)에 있는 막부까지 다녀온 첫 통신사는 1429년(세종 11년)에 박서생(朴瑞生)을 정사로 파견된 사절단이다.

  역대 통신사의 파견은 양국 정세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목적을 달리했는데, 임진왜란 이전에는 왜구의 소요 등에 대한 금지 요청이 위주였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강화와 포로의 생환이나 일본 국정의 탐색에 주안점을 두었으며, 1636년(인조 14년)부터는 막부 장군의 즉위를 축하하는 것이 주요 임무였다. 이때부터 통신사 파견 절차는 대체로 정형화되었다.

  일본에서 새로운 막부 장군(幕府將軍)의 습직(襲職)이 결정되면, 조선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쓰시마 도주(對馬島主)는 막부(幕府)의 명령을 받아 통신사청래차왜(通信使請來差倭)를 조선에 파견한다. 그러면 조선 조정에서는 중앙관리 중 정사(正使)·부사(副使)·서장관(書狀官)을 임명하여 300~500명으로 구성되는 사절단(使節團)을 편성한다. 여정(旅程)은 한양(漢陽)을 출발해 부산(釜山)까지는 육로로 간 뒤 거기서부터는 쓰시마 도주(對馬島主)의 안내를 받아 해로로 쓰시마 섬을 거쳐 시모노세키(下關)를 통과해 일본 각 번(藩)의 향응(饗應)을 받으며 오사카(大阪)의 요도우라(淀浦)에서 상륙한다. 여기서 육로로 조선 전기에는 교토(京都)까지, 후기에는 더 멀리 도쿄(東京)까지 행차한다. 조선국왕(朝鮮國王)의 국서(國書)가 막부(幕府)에게 전달하기까지는 대개 6개월~1년이 걸린다.

  사절단은 지나가는 객사(客舍)에서 서화(書畵)나 시문(詩文) 등 작품을 일본 측은 또 나름대로 환영 병풍이나 판화 같은 작품을 남겨놓았다. 학술의 필담창화(筆談唱和)라는 특이한 문화교류 행사가 거행되곤 한다. 사절단마다 귀국 후 일본 현지 견문록을 남겼는데, 그것이『해행총재(海行摠載)』란 견문록 문집으로 엮어져 당시 한·일 두 나라간의 외교와 교류의 실상을 전해주고 있다. (자료출처: 국립중앙박물관, 네이버 지식백과)

* 문화재 주소: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 donga.com Jounalog: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29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