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문묘 및 성균관<대성전ㆍ동무ㆍ서무ㆍ삼문ㆍ명륜당>(서울 文廟 및 成均館<大成殿ㆍ東廡ㆍ西廡ㆍ三門ㆍ明倫堂>, 보물 제141호)은 서울 문묘는 조선 태조 7년(1398)에 처음 세우고 정종 2년(1400)에 불에 탄 것을 태종 7년(1407)에 다시 지었으나, 이 역시 임진왜란으로 타버렸다. 지금 있는 건물들은 임진왜란 이후에 다시 지은 것이다.
- 서울 문묘 및 성균관(서울 文廟 및 成均館, 보물 제141호) 1. 명륜당 明倫堂 2. 대성전 大成殿 3. 동무 東廡 4. 서무 西廡 5. 삼문 三門 6. 동재 東齋 7. 서재 西齋 8. 존경각 尊經閣 9. 육일각 六一閣 10. 향관청 享官廳 11. 진사식당 進士食堂 12. 제기고 祭器庫 13. 수복청 守僕廳 14. 진사청 進士廳 15.비천당 丕闡堂 16. 묘정비각 廟庭碑閣 17. 탕평비각 蕩平碑閣 18. 하연대 下輦臺 19. 서울 문묘 은행나무 -
문묘(文廟)는 대성전(大成殿)을 비롯한 동무·서무(東廡ㆍ西廡) 등 제사를 위한 공간과 명륜당(成均館), 동재·서재(東齋·西齋) 등 교육을 위한 공간으로 담장을 둘러 크게 두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대성전(大成殿)은 선조 34∼35년(1601∼1602)에 지은 건물로, 공자를 비롯해 증자·맹자·안자·자사 등 4대 성인과 공자의 뛰어난 제자들인 10철, 송조 6현, 그리고 우리나라 명현 18인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4칸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건물의 두 옆면과 뒷면 벽 아랫부분에 돌아가며 낮게 벽담을 쌓았는데, 이는 중국 건축 기법을 느끼게 한다. 대성전 앞에 마주해 있는 동무와 서무는 공자의 제자와 중국과 우리나라 선현들의 위패를 모신 곳으로 선조 36∼37년(1603∼1604)에 세웠다.
명륜당(明倫堂)은 교육 공간으로 대성전의 뒤편에 위치해 있는데, 선조 39년(1606)에 지은 건물로 가운데 중당과 양옆에 있는 익실로 구분하는데, 중당은 옆면에서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고 익실은 팔작지붕으로 중당보다 조금 낮게 구성되어 위계(位階)를 나타내 주고 있다. 지붕과 처마의 높낮이와 전체적인 건물의 균형이 우리나라 건축의 특색을 잘 나타내고 있다. 명륜당 앞에 마주하여 남북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는 동재·서재는 기숙사 공간이다.
서울 문묘 및 성균관은 조선시대 공자를 비롯한 선현들의 제사와 유학교육을 담당하던 곳이며, 또한 건축사 연구의 자료로서 전통과 역사가 깊이 배어있는 곳이다.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 문화재 소재지: 서울 종로구 성균관로 25-1 서울 문묘 및 성균관(명륜3가)
* donga.com Jounalog: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33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