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독립문(서울 獨立門. 사적 제32호)은 갑오개혁 이후 자주독립의 의지를 다짐하기 위해 중국 사신을 영접하던 영은문(迎恩門)을 헐고 세운 기념물이다.
갑오개혁(1894∼1896)은 내정개혁과 제도개혁을 추진하였던 개혁운동이다. 그러나 외국세력의 간섭으로 성공하지 못하였고 나라의 자주독립 또한 이루지 못하였다. 이에 국민들은 민족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서는 어떠한 간섭도 허용하지 않겠다는 다짐으로, 중국사신을 맞이하던 영은문을 헐고 그 자리에 독립문을 세우게 되었다. 건양(建陽) 원년(1896년) 서재필이 조직한 독립협회 주도하에 국왕 동의를 얻고 뜻있는 애국지사와 국민들의 폭넓은 지지를 얻으며, 프랑스 파리의 개선문을 본떠 광우 2년(1898년) 완성하였다.
서울 독립문은 화강석을 쌓아 만들었다. 문의 중앙에는 무지개 모양의 홍예문이 있고 왼쪽 내부에는 정상으로 통하는 돌층계가 있다. 정상에는 돌난간이 둘러져 있으며, 홍예문의 가운데 이맛돌에는 조선왕조의 상징인 오얏꽃무늬가 새겨져 있고 그 위의 앞뒤에는 한글과 한자로 ‘독립문’이라는 글씨와 양옆에 태극기가 새겨 있다.
독립관(獨立館)은 조선시대 중국사신들의 영접연과 전송연을 베풀던 영빈관의 하나인 모화관(慕華館) 건물을 1894년(갑오경장)이후 서재필이 발의하고 독립협회에서 주도하여 개수한 후, 독립관으로 개칭하고 이곳에서 애국토론회를 개최하여 자주, 민권, 자강 사상을 고취하는 장소로 사용하였으며, 독립문과 함께 독립사상을 표현하였으나 일제에 의하여 철거되었다. 독립관은 지상 1층 한식 목조건물로서 정면6칸 측면4칸 7량 팔작지붕 구조였으며, 원래 위치는 동남쪽으로 약 350m 지점에 있었다. 독립문과 독립관이 함께 있는 사진은 눈빛출판사가 보유하고 있던 독립문과 독립관의 옛 모습니다.
서울 영은문 주초(서울 迎恩門 柱礎. 사적 제33호)는 조선시대에 중국의 사신을 맞아들이던 모화관(慕華館) 앞에 세웠던 주춧돌이다.
개화기에 우리민족의 자유와 독립을 다짐하는 의미로 영은문(迎恩門)을 헐고 그 자리에 독립문을 세우면서 그 기둥을 받치던 밑돌인 주초만 남게 되었다. 모화관은 조선 태종 7년(1407)에 처음 세우고 모화루라 하였는데 세종 12년(1430)에 모화관이라 이름을 바꾸고 그 앞에 상징적인 의미의 홍살문을 세웠다. 중종 32년(1537)에 홍살문보다 격식을 갖춘 형식의 문을 만들고 ‘영조문’이라 하였다가 중종 34년(1539)에는 중국 사신의 건의로 영은문이라 이름을 고쳤으며, 연주문·연은문 이라고도 하였다.
중종 때 만들어진 문은 1칸 규모이며 두 개의 긴 주춧돌 위에 원기둥을 세우고 우진각지붕을 얹었는데, 지붕은 청기와로 덮고 각종 동물 모양을 조각한 잡상을 배치하였다. 남아 있는 2개의 주초는 2단의 사각형 받침돌 위에 기둥처럼 길게 세워져 있다. 위에 놓인 받침돌에는 2개씩의 안상(眼象)이 조각되어 있다.
독립문 앞에는 영은문주초(사적 제33호) 2개가 남아있다. 원래 남동쪽으로 70m떨어진 길 가운데에 있었는데, 1979년 성산대로 공사에 따라 지금의 위치로 옮기게 되었다.
독립문이 있는 독립문공원에는 독립선언기념탑과 송재서재필선생동상도 있다. (참고자료: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 문화재 소재지: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941
* donga.com Jounalog: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7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