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문무대왕릉(慶州 文武大王陵, 사적 제158호)은 경북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앞 바다 가운데 있는 대왕암(大王王)으로 신라 30대 문무왕(文武王, 재위 661∼681)의 무덤이다. 동해안에서 200m 떨어진 바다에 있는 수중릉(水中陵)으로, 신라인들의 창의적인 생각을 엿볼 수 있는 곳이다.
문무왕(文武王)은 아버지인 태종 무열왕(太宗 武烈王)의 업적을 이어받아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당의 침략을 막아 삼국통일을 이루었다. 또한 병부(兵部), 창부(倉部) 등 중앙관청을 창설하였고, 지방통치를 위한 5소경제도(五小京制度)와 9서당(九誓幢) 10정(十停)의 군사제도(軍事制度)의 기틀을 마련하는 등 국가체제 완성의 기초를 제공하였다.
대왕암(大王王)은 자연 바위를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 그 안은 동서남북(東西南北)으로 인공수로(人工水路)를 만들었다. 바닷물은 동쪽에서 들어와 서쪽으로 나가게 만들어 항상 잔잔하게 하였다. 수면 아래에는 길이 3.7m, 폭 2.06m의 남북으로 길게 놓인 넓적한 거북모양의 돌이 덮여있는데 이 안에 문무왕의 유골이 매장되어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왕이 죽으면서 불교식 장례에 따라 화장하고 동해에 묻으면 용이 되어 동해로 침입하는 왜구를 막겠다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 그의 아들 신문왕(神文王)은 동해 근처에 감은사(感恩寺)를 세워 법당아래 동해를 향한 배수로를 만들어 용이 된 문무왕이 왕래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자료출처: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사진: 이영일, 전) 문화재청 헤리티지채널 사진기자)
* donga.com Jounalog: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36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