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취[학명: Aster scaber Thunb.]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취나물 가운데 으뜸으로 유용한 나물이란 뜻이다. 선백초(仙白草), 향소(香蔬), 산백채(山白菜), 백운초(白云草), 나물취, 암취, 취, 한라참취, 작은참취, Rough-aster 라고도 한다. 관상용, 식용, 약용, 밀원용이다. 꽃말은 ‘임을 위하여’, ‘이별’이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널리 분포하고, 산이나 들의 초원에서 자란다. 높이 1∼1.5m로 윗부분에서 가지가 산방상으로 갈라진다. 뿌리잎은 자루가 길고 심장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굵은 톱니가 있으며 꽃필 때쯤 되면 없어진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밑부분의 것은 뿌리잎과 비슷하며 잎자루에 날개가 있으며 거칠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톱니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작아지고, 꽃이삭 밑의 잎은 타원형 또는 긴 달걀 모양이다. 잎에 무성아 비슷한 것이 생기는 것은 벌레집이다.
꽃은 8∼10월에 피고 흰색이며 두화는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포는 3줄로 배열하고 설상화(舌狀花)는 6∼8개이며 관상화(管狀花)는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로 11월에 익는다.
생약명(生藥銘)은 동풍채(東風菜), 동풍채근(東風菜根)이다. 진통, 해독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적용 질환은 근골통증, 요통, 두통, 장염에 인한 복통, 인후염 등이다. 타박상이나 독사교상에 치료약으로 쓴다.
봄나물로 향기가 좋아 봄철에 잃어버린 미각을 돋우는 데 아주 좋은 대표적이다. 어린순을 취나물이라고 하며 연한 잎을 삶아 나물로 먹거나 쌈, 겉절이, 데쳐서 간장이나 된장에 무쳐 먹기도 한다. (참고자료: 원색한국식물도감(이영노.교학사), 한국의 자원식물(김태정.서울대학교출판부), 네이버·다음 지식백과/ 글과 사진: 이영일·고앵자 생명과학 사진작가)
* donga.com Jounalog: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38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