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南漢山城, 사적 제57호)은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산1에 위치한다. 북한산성과 함께 수도 한양을 지키던 조선시대의 산성이다. 신라 문무왕 13년(673)에 한산주에 주장성晝長城(일명 日長城)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는데, 현재의 남한산성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의 기록은 없으나 조선『세종실록지리지』에 일장산성이라 기록되어 있다.
남한산성은 해발 480m가 넘는 험준한 자연지형을 따라 둘레 11km가 넘는 성벽을 구축하고 있다. 면적은 2.12제곱킬로미터이다. 본성은 인조 2년(1624)에 통일신라시대의 주장성의 성돌을 기초로 쌓기 시작하여 2년 뒤에 6.297보, 여장 1.97개, 옹성 3개, 문 4개, 암문 16개, 샘 45개 등을 만들었다. 외성은 병자호란 이후 쌓여진 것으로 본성과 시차를 두고 구축됨으로써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각 시기별 성을 쌓는 기법을 특징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
남한산성이 현재의 모습으로 갖춘 것은 후금의 위협이 고조되고 이괄의 난을 겪고 난 인조 2년(1624)이다.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 때 왕이 이곳으로 피신하였는데, 강화가 함락되고 양식이 부족하여 인조는 세자와 함께 성문을 열고 삼전도에서 치욕적인 항복을 하였다. 그 뒤 계속적인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시설은 동·서·남문루와 장대·돈대·보 등의 방어시설과 비밀통로인 암문, 우물, 관아, 군사훈련시설 등이 있다. 이곳에는 백제 전기의 유적이 많이 있어 일찍부터 백제 온조왕 때의 성으로도 알려져 왔다. 남한산성은 각종 시설이 잘 정비되어 우리나라 산성 가운데 시설이 잘 정비된 곳으로 손꼽힌다.
남한산성 행궁(南漢山城 行宮, 사적 제480호)은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로 784-29 (남한산성면, 남한산성행궁) 외 일원에 소재한다. 행궁이란 임금이 서울의 궁궐을 떠나 도성 밖으로 경우 임시로 거처하는 곳을 말한다.
남한상성 행궁은 전쟁이나 내란 등 유사시 후방의 지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한양도성의 궁궐을 대신할 피난처로 사용하기 위하여 인조 4년(1626)년에 건립되었다. 실제로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이 발생하자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난하여 47일간 싸웠다. 이후에도 숙종.영조.정조.철종.고종이 여주, 이천 등의 능행길에 머물며 이용하였다. 남한산성 행궁은 우리나라 행궁 중 종묘[좌전]와 사직[우실]을 두고 있는 유일한 행궁으로 유사시 임시수도의 중요한 역활을 수행한 곳이다.
남한산성 행궁은 정무시설은 물론 다른 행궁에 없는 종묘사직 위패 봉안 건물을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조선시대 행궁제도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크다. 또한 역사적으로 한번도 함락되지 않은 대외 항전의 전적지로서 최고의 수준에 달하는 우리나라 성곽 축조기술을 보여주는 남한산성(사적 제57호)과 역사를 함께하고 있는 행궁은 1999년부터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상궐, 좌전이 복원되었으며, 일부 건물지에서 초대형 기와 등 다량의 유물이 출토된 중요한 유적이다. (자료출처: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글과 사진 이영일/ 전, 문화재청 헤리티지채널 사진기자)
* donga.com Jounalog: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360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