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련초[학명: Eclipta prostrata]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옛날에는 수염이나 머리를 검게 염색할 때 썼다. 그래서 먹을 뜻하는 ‘묵’ 자를 붙여 묵한련(墨旱蓮)이라고도 부른다. 한련풀, 할년초, 하년초, False-daisy라고도 한다. 추출물을 머리 염색약과 탈모제 원료로 쓴다. 꽃말은 ‘애국심’, ‘승리’, ‘당신의 마음은 잠겨 있다’이다.
제주도와 경기도 이남의 지역의 논둑이나 습지에서 자란다. 밑부분이 비스듬히 자라다가 곧게 서며 부드럽지만 전체에 센 털이 있어 거칠다. 높이 10∼60cm로 잎겨드랑이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3∼10cm, 나비 5∼25mm의 바소꼴로서 양면에 굳센 털이 있으며 잔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두화(頭花)가 1개씩 달린다. 두화는 지름 1cm 정도이고 설상화는 흰색이다. 총포조각은 5∼6개이며 긴 타원형으로 녹색이고 끝이 둔하다. 열매는 수과로서 검은색으로 익는데 설상화의 것은 세모지만 관상화의 것은 네모이다.
생약명(生藥銘)은 한련초(旱蓮草), 연자초(蓮子草), 조련자(早蓮子), 금릉초(金陵草), 묵연초(墨烟草), 묵채(墨菜), 저아초(猪牙草), 수한련(水旱蓮), 예장(鱧腸)이다. 지혈작용을 비롯하여 보음(補陰), 보신(補腎)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근육과 뼈(筋骨)를 튼튼하게 해준다고 한다. 적용질환은 토혈과 코피를 비롯하여 혈변, 혈뇨, 외상출혈, 대장염, 이질, 디프테리아, 대하증, 소변이 희고 걸쭉한 증세, 머리카락이 세는 증세, 정력이 허해서 허리가 아픈 증세, 음부가 습하고 간지러운 증세 등을 다스리기 위해서도 쓰인다. 꽃을 포함한 모든 부분을 약재로 쓴다. 꽃이 필 때에 채취하여 햇볕이나 그늘에서 말린다. 병에 따라서는 생풀을 쓰기도 한다. 말린 것은 쓰기에 앞서서 잘게 썬다. 외상을 입어 피가 흐르거나 또는 음부가 습하고 가려운 증세에는 생풀을 짓찧어서 환부에 붙이거나 또는 말린 약재를 가루로 빻아 뿌린다. 그 밖의 병에는 말린 약재를 1회에 5~10g씩 200cc의 물로 달이거나 또는 가루로 빻아 복용한다. 때로는 생풀을 짓찧어 즙을 내서 복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한방의 예장(鱧腸)이 칠성장어(鱧)의 창자(腸)를 뜻하듯, 사내(男子)의 힘과 관련 있는 명칭으로 인도의 라사야나란 명칭에 잇닿아 있을 것이다. 특히 고대 힌두교의 건강 과학이라 할 수 있는 아유르베다(ayurveda)에서는 흰 머리칼을 검게 해줄 정도로 장수와 회춘을 가져다주는 라사야나(rasayana) 테라피 치료법에 이용되는 중요한 식물이다. (참고자료: 원색한국식물도감(이영노.교학사), 한국의 자원식물(김태정.서울대학교출판부), 네이버·다음 지식백과/ 글과 사진: 이영일·고앵자 생명과학 사진작가)
* donga.com Jounalog: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38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