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三陵溪谷 磨崖石迦如來坐像,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8호)은 삼릉골 석불좌상 뒤쪽으로 약 1㎞ 정도 걸어올라 상선암에 이르면 남산 불상 중 가장 크고 조각이 우수한 마애석가여래대불좌상을 볼 수 있다. 높이 5.2m, 무릎 폭 3.5m 정도 되며, 연화대좌의 폭은 약 4.2m이다. 상선암은 남산에서 제일 높은 곳에 있는 암자이다.
머리 부분은 돋을새김을 하였으며 몸 아래쪽으로 갈수록 선각에 가까운 조각으로 단순화시켰다. 오른손은 앞으로 펴고 왼손은 무릎 위에 얹었다. 통견의 옷무늬는 부드럽게 나부끼며 좌대에는 연화를 음각하였다. 사각에 가까운 머리는 풍만하며 가늘고 긴 눈은 정면을 보고 있다. 예리하게 다듬어진 코는 굳세며 굵은 눈썹은 단정하게 초생달을 그리고 있다. 입술은 굳게 다물고 있지만 살진 두 뺨과 입 언저리에는 조용한 미소가 깃들여 있다. 소발한 머리에 육계는 자그마하고 큰 귀가 어깨까지 닿아 있다. 귀 뒷부분에는 진달래 한줄기가 있어 봄마다 분홍빛 진달래를 피우는데, 삼릉골 최고높이에서 고요히 인간세계를 굽어살피는 불상의 위엄을 한결 부드럽게 녹여낸다. 동쪽으로는 남산의 주봉을 대하고 서쪽으로는 배리의 평야를 내다보고 있다. 거대함에서 뿜어 나오는 위엄뿐만 아니라 자비에 넘치는 얼굴 모습은 믿음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며, 신령스러운 이 암벽 아래에는 기도하기에 알맞은 터가 자연적으로 마련되어 있어 소원성취를 기도하는 부인들의 발걸음이 잦다.
상선암마애대좌불, 상선암마애석가여래대불좌상이란 문화재의 다른 이름도 갔고 있다. 불상의 몸부분은 선이 거칠고 억세게 조각하였고, 좌대 부분은 희미하게 사라져 버린 듯한 모습이다. 이러한 조각 수법은 불교가 바위신앙과 습합하여 바위 속에서 부처님이 나오시는 순간을 표현하였다고 생각된다. 불상의 조각연대는 통일신라 하대로 추정된다. (자료출처: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글과 사진: 이영일/ 전, 문화재청 헤리티지채널 사진기자 · 이태열, 울산광역시북구 향토문화연구소장, 이화찬 울산광역시북구 문화원 회원)[이영일∙고앵자/ 채널A 정책사회부 스마트리포터 yil207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