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국의 자원식물. 겨우겨우 살아가는 나무 세상의 제일 얌체, 겨우살이[桑寄生]

들풀/이영일 2018. 3. 21. 07:02

  겨우살이[학명: Viscum album var. coloratum]는 겨우살이과의 상록 기생관목이다. 게으사리, 겨우사리, 동청(凍靑), 기생목, 곡기생, 광기생(廣寄生), 槲寄生, Korean-Mistletoe라고도 한다. 꽃말은 ‘강한 인내심’, ‘나는 모든 어려움을 극복한다’이다.

  남의 눈치 안 보고 자기 잇속만 차리는 사람을 두고 우리는 흔히 얌체라고 한다. 인간사회의 얌체족이 선량하고 순박한 사람을 속여먹듯이 뻐꾸기는 남의 둥지에 알을 낳아 멍청한 박새가 한 계절 내내 헛수고하게 만드는 새 나라의 얌체다. 그렇다면 나무 나라의 제일 얌체는 ‘겨우살이’이다.

  겨우겨우 간신히 살아간다 하여 겨우살이, 또는 겨울에도 푸르다고 하여 겨울살이라고 불리다가 겨우살이로 되었다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한자로 ‘동청(凍靑)’이라고 하니, 겨울살이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이야기가 더 신빙성이 있다. 겨우살이는 주로 참나무 종류의 큰 나무 위 높다란 가지에 붙어서 자라는 ‘나무 위의 작은 나무’로서 멀리서 보면 영락없는 까치집이다. 모양은 풀 같지만 겨울에 어미나무의 잎이 다 떨어져도 혼자 진한 초록빛을 자랑하기 때문에 늘푸른나무로 분류된다. 가을이면 굵은 콩알만 한 노란 열매가 열린다. 맑은 날 햇살에 비치는 반투명 열매는 영롱한 수정처럼 아름답다.

  열매는 속에 파란 씨앗이 들어 있고 끈적끈적하며, 말랑말랑한 육질이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이 열매는 산새와 들새가 숨넘어가게 좋아하는 먹이다. 배불리 열매를 따먹은 산새가 다른 나뭇가지로 날아가 ‘실례’를 하면 육질의 일부와 씨앗은 소화되지 않고 그대로 배설된다. 이것이 마르면서 마치 방수성 접착제로 붙여 놓은 것처럼 단단하게 가지에 달라붙는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나뭇가지에서 떨어지지 않고 끄떡없이 씨앗을 보관할 수 있도록 설계를 해둔 것이다. 알맞은 환경이 되면 싹이 트고 뿌리가 돋아나면서 나무껍질을 뚫고 살 속을 파고들어가 어미나무의 수분과 필수 영양소를 빨아먹고 산다. 그래도 한 가닥 양심은 있었던지, 잎에서는 광합성을 조금씩 하여 모자라는 영양분을 보충하며 삶의 여유를 즐긴다.

  사시사철 놀아도 물 걱정, 양식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새찬 겨울바람이 아무리 몰아쳐도 겨우살이는 흔들흔들 그네를 타는 어린아이처럼 마냥 즐겁다. 땅에 뿌리를 박고 다른 나무들과 필사적인 경쟁을 하는 어미나무의 입장에서 보면 정말 분통 터질 노릇이다. 뽑아내버릴 수도 없고 어디다 하소연할 아무런 수단도 방법도 없으니, 고스란히 당하면서 운명이겠거니 하고 살아간다.

  이런 얌체 나무를 서양 사람들은 특별히 소원을 들어주는 좋은 나무로 생각한다.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크리스마스 축하파티가 열리는 방 문간에 겨울살이를 걸어 놓고 이 아래를 지나가면 행운이 온다고 알려져 있다. 또 마력과 병을 치료하는 약효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믿었으며, 겨우살이가 붙은 나무 밑에서 입맞춤을 하면 반드시 결혼을 하게 된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참나무·물오리나무·밤나무·팽나무 등에 기생한다. 둥지같이 둥글게 자라 지름이 1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다육질이며 바소꼴로 잎자루가 없다. 가지는 둥글고 황록색으로 털이 없으며 마디 사이가 3∼6cm이다.

  꽃은 3월에 황색으로 가지 끝에 피고 꽃대는 없으며, 작은 포(苞)는 접시 모양이고 암수딴그루이다. 화피(花被)는 종 모양이고 4갈래이며, 열매는 둥글고 10월에 연노란색으로 익는다. 과육이 잘 발달되어 산새들이 좋아하는 먹이가 되며 이 새들에 의해 나무로 옮겨져 퍼진다.

 

  생약명(生藥銘)은 상기생(桑寄生)이다. 고혈압, 당뇨, 중풍, 심장병에 약효가 있다. 특히 뽕나무에서 자라는 겨우살이는 상상기생(桑上寄生)이라 하여 그 약용가치가 더욱 크다. 초봄에서 겨울 사이에 채취하여 거친 가지를 제거하고 그늘이나 햇볕에 말린다. 혈압 높은 데, 당뇨, 중풍, 심장병에 말린 것 30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한방에서 줄기와 잎을 치한(治寒)·평보제(平補劑)·치통·격기(膈氣)·자통(刺痛)·요통(腰痛)·부인 산후 제증·동상·동맥경화에 사용한다. (참고자료: 원색한국식물도감(이영노.교학사), 한국의 자원식물(김태정.서울대학교출판부), 네이버·다음 지식백과/ 글과 사진: 이영일생명과학 사진작가) [이영일∙고앵자/ 채널A 정책사회부 스마트리포터 yil207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