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리[학명: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는 양치류(fern)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이다. 궐(蕨), 궐채(蕨菜), 오각(烏角), 소각(小角)이라고도 한다. 고사리는 하나의 종(species)을 지칭하는 말이 아니라, 약 10여 가지의 종이 속하는 속(genus)을 가르키는 말이다. 과거에는 하나의 종으로 취급했으나 최근에는 여러 종으로 분류했다. 영명 Bracken은 고대 스칸디나비아어(Old Norse)에서 유래한 것으로 양치류(fern)라는 뜻이다. 어린순은 갈색으로 꼬불꼬불한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모양 때문에 어린순을 영어로는 ‘소용돌이 모양의 장식’이란 뜻의 ‘fiddlehead’라고 붙였다. 세간에서는 어린이들의 작으며 부드럽고 앙징스러운 손을 말할 때 ‘고사리손’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꽃말은 ‘기적’, ‘유혹’이다.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고려시대에 한 여인이 반야산에서 고사리를 캐다가 아이의 울음소리를 듣고 그곳으로 가보니 아이는 없고 땅 속에서 큰 바위가 솟아나며 그 소리가 거기에서 들려왔다고 한다. 나라(조정)에서는 그것을 신성하다고 여겨 혜명스님에게 그 바위로 불상을 만들어 세우도록 한 것이 지금의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사에 있는 “은진미륵”이라고 한다.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펴져 있는 양치류(fern)로써 남극대륙이나 사막과 같이 너무 춥거나 더운 지방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볼 수 있다. 뿌리줄기는 곳곳에서 잎을 뻗는데 땅속으로 1m 정도 자란다. 잎자루는 연한 황토색이며 20~80cm 길이로 자라며 땅에 묻혀있는 부분은 털이 있고 갈색이다. 둥그스름한 삼각형의 잎은 3회 우상복엽으로 뒷면에는 약간의 털이 있다. 열편의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작은 잎 조각은 갈라지지 않고 길게 자란다. 엽맥은 2개씩 2~3회로 갈라진다. 가장 밑의 잎조각이 가장 크다. 낭퇴는 적갈색으로 포막으로 싸여 있다.
생약명(生藥銘)은 궐근(蕨根), 궐기근(蕨其根), 고사리근(高沙利根)이다. 한방에서는 두통, 가래, 해독, 이뇨, 종기, 습진, 관절통, 설사, 황달, 대하증, 기생충 등을 치료하는 약재로 사용한다. 뿌리줄기를 늦가을에 굴취하여 말린 약재를 1회에 4~8g씩 200cc의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기관지염 치료제로 뿌리줄기를 날로 먹었다. 최근에는 새로운 살충제 성분을 고사리에서 찾고 있다.
식용으로 새로 나온 어린잎을 뜯어 끓는 물에 삶아서 나물로 무쳐 먹는다. 우리나라의 비빔밥에 빼놓지 않고 들어가는 고사리나물이 고사리의 어린순으로 만든 것이다. 또한 잎과 뿌리줄기 모두 맥주를 만드는데 사용되며, 뿌리줄기의 전분은 빵을 만드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고사리는 음력 2~3월에 싹이 나 어린이의 주먹 모양과 같은데 펴지면 봉황새의 꼬리와 같다고 하였다. 석회질(칼슘)이 많아 이와 뼈를 튼튼하게 한다. 뿌리줄기에서는 녹말을 채취하기도 한다.
그러나 오래 먹으면 양기가 부족해지거나 다리가 약해지고 눈이 어두워지며 복부가 팽만해지기도 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생쥐실험에서 발암인자(carcinogen)를 포함한 사람의 몸에 좋지 않은 다른 성분들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서 이것을 오랜 기간 즐겨 먹다 보면 정력감퇴, 시력감퇴, 탈모증, 각기병(beriberi) 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조금씩 먹는 것이 좋다. 날것으로 먹으면 해로운 물질이 들어 있으므로 반드시 삶아 먹어야 한다. (참고자료: 원색한국식물도감(이영노.교학사), 한국의 자원식물(김태정.서울대학교출판부), 네이버·다음 지식백과/ 글과 사진: 이영일생명과학 사진작가) [이영일∙고앵자/ 채널A 정책사회부 스마트리포터 yil207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