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자원식물, ‘노각나무[korean mountain camellia]’
노각나무[학명: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는 차나무과의 낙엽활엽관목이다. 세계적으로 7종의 노각나무가 분포되어 있으나 한국의 품종이 가장 아름답다. 그러나 생장속도가 느려서 한국에서는 심기를 꺼려한다. 정원수, 가구용으로 이용된다. 꽃말은 ‘견고’, ‘정의’이다.
필자는 요즈음 환자 아닌 환자로 마음 고생을 크게 간직하고 있다. 2월 14일(화) 어깨가 뻐근하여 동내가정의학과에 들려 처방을 하고서 뒤 돌아 서는 순간 의사가 가슴사진을 찍어 보자고 한다. 가슴 X-ray에 보이지 않아야 할 음영이 보인다며 내게 보여 주시고는 종합병원에 들려 폐CT를 찍어 보라고 진료의뢰서를 써주셨다. 다음날 명진단병원에 들려서 폐CT를 찍었더니, 폐암이 산발적으로 여기저기에 보인다. 다른 장기에서 전이가 의심이 된다면서 간초음파, 대장과 위내시경, 머리MRI, 혈액, 변검사 등을 했더니 간에서 발병하였단다. 명진단병원 배원장님은 23일 결과를 종합 판독하고 세브란스병원 간 소화기내과 전문의 진료를 예약하여 주셨다. 2월 27일 폐와 간 사진을 보여 주면서 3월 4일(토)에 추가로 간MRI와 뼈검사를 하고 3월 8일 종합진료 결과를 보자면서 예약을 해 주었다. 3월 3일(금) 어제는 큰아들이 삼성서울병원 간학회 회장을 지내신 백승윤 교수님께 예약하여 명진단의 사진들을 보고 추가검사로 당일에 체혈8개, 소변, 가슴사진, 간섬유화검사, 핵의학뼈검사를 하고, 간MRI는 폐쇠공포증으로 촬영을 실폐하였다.(대체 검사를 할지를 업무과에 문의 하더니 이대로 마무리 하자고 하였다.) 3월 10일(금) 검진 예약 하였다. 이 때에는 종합적인 치료 계획이 있겠다는 생각이다.
봉산이씨 좌랑공파 정읍종중의 총회장님 며느리가 과장 전문의로 근무하는 국립암센터에서 3월 6일(월) 의사 소견도 들어야 한다는 문중 서울회장님의 권유로 예약하여 두었다. 가족들의 사랑과 따스한 체온을 느낀다. 어려움을 이껴내야 할 긍정의 힘들을 여기저기서 주신다. 세 곳의 종합병원 의사선생님들의 검진을 받아 보고 내 마음에 신뢰가 가는 병원과 전문의를 찾아서 진료를 계속 하여야겠다. 이제 모든 것은 하늘에 맞기기로 한다. 작은 희망을 기대해 본다.
장수의 비결은 건강한 삶에 정기검진이 꼭 뒤 따라야 한다. 운명은 제천이란 말을 실감하게 한다. 아무런 자각 증상도 없이 이렇게 간과 폐의 전체에 산발적으로 전이 되었다. 의사 선생님은 "간의 기능은 아주 좋아요" 이런 아이러니한 말씀까지 ......
지금까지 이런 검진이 없었다면 훨훨나는 평소의 기분으로 친구들과 한 잔에 술과 밝은 웃음 속에 전국 취재 여행을 즐기고 있을 터인데 나의 자신이 믿어지지 않고 승복하기도 어려운 시간들이였다. 이 사진들은 지난 토요일 아내와 세 아들과 함께 서울 남산을 산책하면서 또한 공간이 좋은 스튜디오를 2시간 빌려서 우리 가족 모두가 즐겁고 행복한 순간의 추억을 남겼다.
삼성병원 핵의학 뼈검사실에 검사를 위하여 누우니 천정에 노각나무 사진이 시원하게 보인다. 자연의 치유력으로 안정감을 주웠다.
한국(전남·전북·경남), 동남아, 북미 등지에 분포하고, 산 중턱 이상에서 자란다. 높이는 7∼15m이다. 나무껍질은 흑적갈색으로 큰 조각으로 벗겨져 오래 될수록 배롱나무처럼 미끈해진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뭉뚝하다. 크기는 길이 4∼10cm, 나비 2∼5cm로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양성(兩性)으로 6∼7월에 백색으로 피며 새가지의 밑동 겨드랑이에 달린다. 꽃대는 길이 1.5∼2cm이고 포(苞)는 달걀모양 또는 둥근 모양이다. 꽃받침은 둥글고 융모가 있으며,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5∼6개이다. 암술대는 5개로 갈라져 합쳐지고 수술은 5개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10월에 익고 5각뿔형이다.
생약명(生藥銘)은 모란(帽蘭)이다. 간 질환, 신경통의 약용이다. 민간요법에서 줄기껍질·잔가지를 가을~겨울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 간 질환에 말린 것 15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또한 수액을 초봄에 줄기에서 채취한다. 신경통에 물처럼 마신다. (참고자료: 한국의 자원식물·네이버·다음 지식백과/ 사진: 이영일 생명과학 사진작가)
* donga.com Jounalog: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36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