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자원식물, ‘붉노랑상사화[ ─相思花, Korean Cluster amaryllis]’
붉노랑상사화[학명: Lycoris flavescens M.Y.Kim & S.T.Lee]는 수선화과의 구근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붉노랑은 꽃색이 주로 연한 노랑색을 띠나 직사광선이 강한데서는 붉은 빛을 띠기 때문이다. 개상사화, 가재무릇, 가을무릇의 다른 이름도 있다. 식용, 약용, 관상용식물이다. 꽃말은 ‘이룰 수 없는 사랑’이다.
한국·일본·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내장산과 불갑산, 제주도에서 자생한다. 주변습도가 높고 반그늘이며 부엽질이 풍부한 곳에서 자란다. 줄기껍질은 검은빛을 띤 갈색이다. 비늘줄기는 둥근 모양이고 지름 5∼6cm이다. 잎은 뭉쳐나고 넓은 줄 모양이며 끝이 뭉뚝하고 잿빛을 띤 푸른빛이다. 잎 길이 30∼60cm, 나비 12∼18mm이고 두꺼우며 앞면은 윤이 난다.
꽃은 잎이 진 뒤인 7∼8월에 꽃줄기가 나와 핀다. 빛깔은 황금색이고 산형꽃차례로서 잎 사이에서 나온 높이 60cm 정도의 꽃줄기 끝에 5∼10송이가 한쪽을 향해 핀다. 총포조각은 달걀 모양 바소꼴로 길이 12∼45mm이다. 꽃자루는 짧고 작으며 밑에 바소꼴의 포가 있다. 화피조각은 6개로서 넓은 줄 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4.5∼6cm이다. 수술은 6개이고 약간 길게 나오며 암술은 1개이다. 씨방은 하위(下位)로서 3실이고 녹색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원기둥 모양이며 9월에 익는다.
본초명(本草銘)은 상사화(相思花), 석산(石蒜), 오산(烏蒜), 독산(獨蒜)이다. 비늘줄기를 인후염과 편도선 질환에 사용한다. 꽃대를 말려 나물로 이용했다. (참고자료: 한국의 자원식물·네이버·다음 지식백과/ 사진: 이영일 생명과학 사진작가)
* donga.com Jounalog: http://blog.donga.com/yil2078/archives/36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