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자원식물. 예수 십자가 형에 손에 든 꽃, 부들[香蒲] 부들[학명: Typha orientalis C.Presl]은 부들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이 부드럽기 때문에 부들부들하다는 뜻에서 부들이라고 한다. 포이화분(蒲厘花粉), 포화(蒲花), 포초황(蒲草黃), Cumbungi라고도 한다. 잎은 방석, 약용이다. 유사종 큰부들(T. latifolia)은 잎의 나비가 l.5∼2cm이고 화분이 4개씩 .. 카테고리 없음 2018.10.02
한국의 자원식물. 물고기의 부레를 닮은 공기주머니, 부레옥잠[─玉簪] 부레옥잠[학명: Eichhornia crassipes (Mart.) Solms]은 물옥잠과의 열대지방에서는 여러해살이지만 한국에서는 한해살풀이다. 엽병의 중앙이 부풀어 마치 부레와 같이 되면 수면에 뜨기 때문에 부레 옥잠화라고 한다. 수호로(水葫蘆), 배옥잠, 부대물옥잠, 혹옥잠, 부평초, 봉안련, 풍선란, Floating w.. 카테고리 없음 2018.10.01
한국의 자원식물. 악마의 꼬리를 닮은 풀, 며느리배꼽[杠板帰] 며느리배꼽[학명: Persicaria perfoliata (L.) H.Gross]은 마디풀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이다. 긴 잎자루가 잎 밑의 약간 위에 올라 붙어 배꼽처럼 보인다 하여 배꼽이라는 이름이 들어갔다. 북미 동부 워싱턴을 중심으로 하는 온대지역까지 널리 퍼져나갔다. 골치 아픈 침투외래종(invasive alien specie.. 카테고리 없음 2018.09.30
한국의 자원식물. 섬세한 아름다움, 미국부용[木芙蓉花] 미국부용[학명: Hibiscus oculiroseus Britton]은 아욱과의 낙엽 반목본형 관목이다. Hibiscus, Marsh-mallow, 하와이무궁화라고도 한다. 추위에 약하여 겨울에는 10℃ 이상에서만 자란다. 꽃이 아름다워 화단, 조경용으로 많이 식재한다. 꽃말은 섬세한 아름다움이다. 북미 원산이다. 높이는 약 1~2.5m이며.. 카테고리 없음 2018.09.29
한국의 자원식물. 해녀들의 만성두통 치료제, 순비기나무[蔓荊子] 순비기나무[학명: Vitex rotundifolia L. f.]는 마편초과의 상록활엽관목이다. 단엽만형(單葉蔓荊), 황형(黃荊), 소형(小荊), 대형자(大荊子), 육속환(陸續丸), 보형(甫荊), 백포강(白蒲姜), 증발실(增發實), 만형자나무, 승범실, 풍나무라고도 한다.《당초본》에는 “만형(蔓荊)이란 이름은 새로 돋.. 카테고리 없음 2018.09.28
한국의 자원식물. 분홍빛 아름다움의 혈액순환촉진제, 분홍바늘꽃[柳葉菜] 분홍바늘꽃[학명: Epilobium angustifolium L.]은 바늘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두메바늘꽃, 돌바늘꽃, 구름바늘꽃, 큰바늘꽃, 넓은잎바늘꽃, 여뀌바늘꽃, 버들잎바늘꽃, Fireweed 라고도 한다. 물도랑 옆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수와와’, ‘수정향’, 혹은 ‘수난화’ 등의 별명도 가지고 있다. .. 카테고리 없음 2018.09.28
한국의 자원식물. 바닷가에 자라는 황달 치료제, 해란초[柳穿魚] 해란초[학명: Linaria japonica Miq.]는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바닷가에 자라는 난초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난초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난초과는 아니고, 약초류가 많은 현삼과에 속한다. 북한에서는 ‘바람난초’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풍란초(風蘭草)’를 우리말로 표현한 것.. 카테고리 없음 2018.09.28
한국의 자원식물. 부러진 뼈를 이어 주는 근골 강화약제, 속단[續斷] 속단[학명: Phlomis umbrosa TURCZ]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묏속단, 멧속단, 두메속단이라고도 한다. 속단(續斷)이라는 이름은 부러진 뼈를 이어 주어 골절을 잘 치료한다 하여 붙여진 명칭이므로 그런 의미에서 속절(續折), 접골(接骨)이라 부르기도 한다. 본래는 산토끼꽃의 뿌리를 말.. 카테고리 없음 2018.09.25
한국의 자원식물. 밭작물의 문제잡초, 붉은서나물[물쑥갓] 붉은서나물[학명: Erechtites hieracifolia Raf.]은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이다. 대룡국화, 물쑥갓, 민머위나물, burnweed라고도 한다. 줄기째 썰어 20분간 끓여서 염액을 만들어 반복 염색하여 짙은 색을 얻을 수 있는 좋은 염료이지만 매염제, 특히 철에 대한 반응이 약하다. 사료로 이용하기도 한다. .. 카테고리 없음 2018.09.23
한국의 자원식물. 가을 길의 수채화, 개미취[紫苑] 개미취[학명: Aster tataricus L.f.]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소판, 협판채, 산백채, 자와, 들개미취, 애기개미취, Tartarian-aster 라고도 한다. 작은 꽃들이 줄기 끝에서 개미떼처럼 많이 피고 잎을 취나물처럼 먹을 수 있다고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식용, 약용,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 카테고리 없음 2018.09.20